앨리게이터가아는 원시적인 조기어류로, 주둥이 부분이 악어를 닮은 것이 특징입니다. 미국 남동부의 늪지대, 멕시코, 니카라과에 주로 분포하며 약 4~6m 정도까지 자랍니다. 실제로 사람을 잡아먹은 사례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환경부 지정 위해우려종입니다. 학명 Atractosteus spatula 한글명 엘리게이터 가아 영명 Alligator gar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레피소스테우스목과: 레피소스테우스과속: 아트락토스테우스속종: 앨리게이터가아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수명엘리게이터 가아는 가장 오래 사는 담수어 종 중 하나입니다. 야생에서 수명은 일반적으로 50~70년이지만 때로는 그보다 더 오래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는 90세 이상..
'피라니아'란 말은 원주민의 말로 ‘이빨이 있는 물고기’라는 뜻입니다. 아래턱이 매우 발달하였으며 삼각형의 예리한 이빨이 있습니다. 육식성으로 성질이 흉포하여 하천을 건너는 소나 양 등을 습격하고 무리를 지어 공격해서 뼈와 가죽만 남기고 살은 모두 먹어치웁니다. 1년이면 성숙하는데 암수의 구별이 어렵지만 암컷은 포란에 의해 배가 커지므로 구별됩니다. 관상용으로서 수온 24∼30℃의 수조에서 사육합니다. 미꾸라지나 작은 물고기를 먹이로 준다.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오리노코강·파라나강 등에 분포합니다. 학명 Serrasalmus natteri 한글명 피라니아 영명 piranha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카라신목과: 세라살무스과족: 피라냐족 멸종위기등급미평가(NE : Not ..
몸길이 12∼15cm이다. 몸은 옆으로 몹시 납작하며 각 지느러미는 길게 늘어나 있습니다. 몸빛깔은 은색으로 3개의 검은색 띠가 있습니다. 성질이 온화하여 기르기 쉽고, 먹이는 산 것이나 건조된 것의 어느 것이나 잘 먹습니다. 성장이 매우 빨라서, 넓은 수족관에서 충분히 먹이를 주면 6개월 정도만에 성어가 됩니다. 사육 적수온은 25 ℃ 전후이며 번식은 산지에서는 물풀에 알을 낳는데, 수조에서는 표면이 매끄러운 막대를 비스듬히 세워놓고 여기에 산란시킵니다. 겉보기로는 암수를 구별할 수 없으므로 10마리쯤을 기르고 그중에서 사이가 좋은 쌍을 1쌍 골라 산란시킵니다. 학명 Pterophyllum altum 한글명 엔젤피쉬 영명 Angelfish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키클..
유리메기(glass catfish) 또는 유령유리메기(ghost glass catfish)는 메기목 메기과에 속하는 투명한 물고기입니다. 메기목의 특징인 촉수가 입 주위에 나 있으며, 머리, 척추 그리고 머리 뒤쪽으로 쏠려있는 내장 외에는 모두 투명해서 유리와 비슷하다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K. bicirrhis와 같은 종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1989년 다른 종임이 밝혀졌습니다. 흔히 관상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열대어는 K. bicirrhis가 아니라 K. minor입니다. 주로 무리를 짓고 살며 죽고 난다음에는 하얗게 변하는데 그것은 유리메기가 몸을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 살아있는 동안 기름을 분비한다는 것을 증명해줍니다. 다른 메기들과 달리 수면이나 중간쪽에 살기 때문에 몸이 투명하며..
코리도라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코리(투구,Kory) 와 도라스(피부,doras) 가 합쳐져 만들어졌습니다. 코리도라스 속은 신열대구 에 사는 가장 큰 속이며, 160종이 넘는 종이 속해있고 지속적으로 신종이 발견되고있습니다. 종명을 받지 못하였지만 이미 시중에 유통되고있는 코리도라스들은 명칭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코스토머스의 L-넘버와 같이 C-넘버 혹은 CW-넘버를 받습니다. 코리도라스 바바투스, 메크롭테루스, 프리오노토스 들은 코리도라스 속에서 스클레로미스텍스속으로 바뀌었습니다. 브로키스속은 코리도라스속과 비교했을 때 등지느러미의 살 수가 더 많기 때문에 다른 속으로 분리되었습니다. 학명 Corydoras 한글명 코리도라스 영명 Corydoras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
금붕어는 붕어와 형태가 비슷한 점, 염색체의 수가 같고 또 같은 형인 점, 그리고 순계분리(純系分離)하여 사육을 반복해 가다 보면 붕어가 생긴다 하여 붕어의 변종(變種)으로 되어 있습니다. 원산지는 양쯔강[揚子江] 하류의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입니다. 처음에는 왕후귀족의 관상물로 사육이 시작되었으며, 송대(宋代)에는 상품화되어 서민사회에 보급되어 갔습니다. 16세기 초 일본으로, 16세기말 영국으로, 18세기 중엽 프랑스로, 19세기 초 미국 등으로 전래되어 세계적으로 전래되었으며 많은 신품종이 생겨났습니다. 학명 Goldfish 한글명 금붕어 영명 Goldfish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잉어목과: 잉어과속: 붕어속종: 금붕어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
제브라피쉬(Zebrafish), 또는 제브라 다니오는 잉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푸른색 몸에 횐색 줄무늬가 있기 때문에 "제브라(얼룩말)다니오"로 불립니다. 원산지는 인도이며 관상어로 곧잘 사육됩니다. 인간의 유전자와 많은 부분이 상당히 일치한다고 하여 실험동물로 많이 쓰이며, 강인하고 기르기 쉬워 관상어로 기르기도 쉽습니다. 어류 애호가들은 제브라피쉬를 수조 속 수질을 관상어에게 알맞게 하는 일명 '물잡이'를 할 때 쓰고는 합니다. 학명 Danio rerio 한글명 제브라 다니오 영명 Zebrafish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강: 조기어류목: 잉어목과: 잉어과속: 다니오속종: 제브라 다니오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수명제브라 다니오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2년 ~..
금붕어는 동아시아가 원산지로, 붕어의 돌연변이인 붉은 붕어를 연못에서 키우기 시작한 것이 금붕어 사육 역사의 첫 시작입니다. 진 (265년 ~ 420년) 시대에 최초의 기록이 전해집니다. 1620년대 남유럽에서는 금붕어가 금속광택이 나는 비늘로 인해 인기를 끌었고 행운을 상징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첫 번째 결혼 기념일에 남편이 아내에게 밝은 미래의 상징으로서 금붕어를 선물하는 전통이 생겼으나, 이 전통은 금붕어가 흔해지면서 금붕어의 지위가 낮아져 빠르게 없어지기 시작했습니다. 학명 Carassius auratus 한글명 금붕어 영명 Goldfish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잉어목과: 잉어과속: 붕어속종: 금붕어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상류입니다. 꼬리의 배쪽은 짙은 홍색이 찬란하여 네온과 비슷합니다. 1936년에 프랑스의 M.라보가 발견한 이래 전세계에 보급된 관상어류이다. 열대어 중 가장 일반에게 잘 알려져 있습니다. 튼튼하여 기르기 쉬우며, 아름답고 성질이 매우 온화하여 작은 물고기와 함께 사육하든가 동종만으로 사육합니다. 또한 무리를 지어서 헤엄치는 습성이 있습니다. 학명 Paracheirodon innesi 한글명 네온 테트라 영명 Neon tetra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강: 조기어류목: 카라신목과: 카라신과속: 카라신속종: 네온테트라 멸종위기등급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수명네온테트라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5년 ~ 10년 사이입니다. 수명은 적..
좁은 의미로는 실버 아로와나, 블랙 아로와나, 아시아 아로와나(용)를 의미하며, 전 세계에서 애완용으로 많이 길러지는데,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개체들이 양식되고 있고, 유통되는 개체는 대부분 실버아로와나입니다. 다트니오, 담수가오리와 함께 대형어 3대장을 맡고 있습니다. 사실상 대형 담수어계의 구피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대중적인 물고기입니다. 옛날엔 멸종 위기종이었으나 지금은 동남아 등지에서 무지막지하게 양식되어 수가 엄청나게 불어났습니다. 덕분에 웬만한 대형어 수조에는 한두 마리씩은 꼭 있는 대표적인 대형 열대어입니다. 다만 자연종은 외려 남획 때문에 위기상태 입니다. 학명 Osteoglossidae 한글명 아로와나 영명 Arowana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골설어목..
베타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민물고기입니다. 베타속(genus Betta)에는 73종이 있지만 관상어로서 베타라고 불리는 종은 그중에 단 1종 만을 의미합니다. 베타는 다양한 색과 모양의 표현형과 낮은 사육 난이도 덕에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어입니다. 베타는 태국 중부 평원의 토착종으로 1000년 전 처음 가축화(순화)되었습니다. 베타는 영역성이 아주 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계적인 인기와 더불어 베타는 태국의 대표 수생 동물이고, 세계 관상어 시장에서 태국은 베타의 주요한 생산국이자 수출국입니다. 학명 Betta splendens 한글명 베타 영명 Betta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농어목아목: 등목어아목과: 버들붕어과속: 베타속(Betta)종: 베타 멸종위기등급취..
대한민국에서는 정식 국명은 없지만 주로 청소물고기, 비파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그 이유는 한국의 전통악기 비파를 닮았기 때문입니다. 이미 아주 오래전부터 한국에 보급된 종이라 '비파'란 이름이 사실상 정식 국명에 가까운 수준이 되었습니다. 생명력이 길어 건기에 물이 다 말라버려도 며칠 동안이나 아가미에 수분을 저장하거나, 위에 산소를 최대한 집어넣고 신진대사를 낮추어 살아남을 수 있는 생물입니다. 덩치가 크고 온순한 데다 갑옷 피부가 단단해서 말라위 시클리드나 니그로 같은 종류를 제외하면 웬만한 어종과 합사 하여 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타 어종을 공격하는 비파도 있고, 먹이 욕심이 많아서 먹이를 빼앗기거나 식사 도중 시비가 붙으면 매우 공격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순한 양은 결코 아닙니다..
구피는 1859년 베네수엘라에서 빌헬름 페테르스(독일어: Wilhelm Peters)가 발견하여 Poecilia reticula로 명명했습니다. 1861년 바베이도스에서는 필리포 데 필리피(이탈리아어: Filippo De Filippi)가 발견하여 Lebistes poecilioides로 명명했습니다. 1866년에는 알베르트 귄터(독일어: Albert Günther)가 구피를 발견했고, 이전에 로버트 존 레치미어 구피(영어: Robert John Lechmere Guppy)가 트리니다드에 사는 종들의 생물 표본을 런던 자연사 박물관으로 보낸 것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따 Girardinus guppii로 명명했습니다. 난태생 어종의 대표적 열대어로 관상용으로 널리 사육되고 있습니다. 키우기 쉽고..
닥터피쉬는 가라루파(Garra rufa)라고 불리는 터키의 온천에 사는 민물고기입니다. 닥터피시라는 애칭으로도 잘 알려진 이 생물은 피부병 중 하나인 마른버짐을 고치기 위해 이용되는데, 피부를 핥아 죽은 세포를 먹고 새 살만 남기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물고기가 실제로 피부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2018년에 중국에서 10년 동안 발을 씻지 않은 남성의 발냄새에 수조 전체의 닥터피쉬가 몰살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학명 Garra rufa 한글명 닥터피쉬 영명 Doctor Fish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잉어목과: 잉어과속: 가라속종: 가라루파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수명 닥터피쉬의 수명은 대략..
아프리카 동남부가 원산지인 민물고기로, 이집트에서 약 2천여 년 전부터 양식을 해 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과학적인 양식은 1924년 케냐에서 처음으로 실시되어 곧 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1940년대에는 동양으로, 1950년대에는 북미 등으로 이식되었습니다. 현재는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955년 5월에 태국에서 도입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이식된 종은 Oreochromis niloticus와 Oreochromis mossambicus이며, 이들 종을 합쳐서 일반적으로 틸라피아라고 부릅니다. 붉은돔의 대체어로 이용되므로 지역에 따라 역돔, 민물돔이라고도 합니다. 「한국어도보」에서는 태국에서 이식되었다 하여 '태래어(泰來漁)'라고 적고 있습니다..
쏘가리는 한국 강계의 최상위 포식자의 대표적 민물고기로 강의 중상류에 물이 맑고 물 흐름이 비교적 빠른 곳에서 먹이활동을 잘하며, 바위 사이나 바위 밑에서 은신을 합니다. 겨울에는 활동을 하지 않다가 3월경이 되면 먹이를 찾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움직임이 활발해지며 몸도 점차 살이 찌는데, 가을까지 이러한 활동을 계속합니다. 수온이 내려가는 늦가을부터 다시 조용해지며, 겨울잠을 자면서 겨울을 납니다. 학명 Siniperca scherzeri 한글명 쏘가리 영명 Mandarin fish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경골어강목: 농어목과: 꺽지과속: 쏘가리속종: 쏘가리 멸종위기등급미평가(NE): 아직 평가가 이루어진 바 없음 수명일반적으로 쏘가리는 약 7년 ~ 12년 정도의 수명을 가집니다...
민어는 다 자라면 그 길이가 1미터가 넘는 바닷물고기입니다. 요즘에는 값이 비싼 편이지만, 옛날에는 민어(民魚)라는 이름처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흔한 물고기였습니다. 그래서 ‘백성들의 물고기’라 불렸습니다. 에는 “면과 민은 소리가 서로 가깝다.”고 설명하면서 민어를 ‘면어(鮸魚)’라고도 하였습니다. 학명 Nibea imbricata 한글명 민어 영명 Nibe croaker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상목: 극기상목목: incertae sedis또는 농어목과: 민어과속: 민어속 종: 민어 멸종위기등급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수명민어의 수명은 종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0년 ~ 20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명은 환경 조건, 서식지..
한국에서는 다금바리와 이름이 똑같거나 생김새가 비슷한 바리과의 물고기가 상당히 많아 혼동이 잦은 편입니다. 특히 다금바리와 자바리가 끊임없이 혼동되는 이유는 사투리와 표준어의 충돌 때문입니다.제주 방언으로 다금바리는 구문쟁이라고 부르고 자바리를 다금바리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방송과 언론에서 현지에서 부르는 사투리를 그대로 받아쓰기하다 보니 이런 혼란이 생긴 것입니다. 일본에서는 다금바리를 아라(アラ)라고 하며, 자바리를 쿠에(クエ)라고 하는 규수지방에서는 자바리를 아라(アラ)라고 부르는데, 일제 강점기 및 상업적 이유를 거치면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진짜 다금바리는 농어를 닮았다 해서 (제주 외의 타 지역에선) '뻘농어'라는 방언으로 불립니다. 그래서 사투리로 '다금바리'라 불리는 어종..
한자어로는 선(鱓 혹은 鱔)이라 합니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서는 선(鱓)을 우리말로 동을람허리(冬乙藍虛里)라 한다고 하였고, 『훈몽자회』에서는 ‘드렁허리 선(鱓)’이라 하고 선(鱓)으로 쓰기도 한다고 하였습니다.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를 보면 기내(畿內:서울을 중심으로 한 행정구역 안)에서는 웅어(熊魚)라 하고, 호서·호남에서는 농요어(壟腰魚)라 한다고 하였습니다. 학명 Fluta alba 한글명 드렁허리 영명 albino swamp eel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드렁허리목과: 드렁허리과속: 드렁허리속종: 드렁허리 멸종위기등급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수명드렁허리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입니다. 그러나 이는 많은 ..
이들의 이름은 가시로 쏜다는 말에서 ‘쏘다’가 ‘쏨’으로 변해 쏨뱅이가 된 것이 유래입니다. 쏨뱅이목의 학명인 ‘Scorpaeniformes’ 에서 ‘Scorpion’ 은 전갈을 의미합니다. 대개의 쏨뱅이는 수심 10∼100m의 암초 지대에 서식합니다. 먼 거리를 이동하지는 않지만 수온이 떨어지는 겨울에는 깊은 곳으로 내려간 후 봄에 연안으로 돌아오는 계절 회유성 어종입니다. 학명 Sebastiscus marmoratus 한글명 쏨뱅이 영명 Marbled rockfish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상목: 극기상목목: 페르카목아목: 양볼락아목과: 양볼락과아과: 쏨뱅이아과속: 쏨뱅이속종: 쏨뱅이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수명 쏨..
방어와 생김새가 비슷하여서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구분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겉보기부터 방어와 매우 비슷하여서 방어와 착각하기 쉬운 데다가 방어와 외면에서는 너무도 다를 바가 없어서 어류 연구가나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일반인들 시점에서는 확연히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분석으로는 지느러미와 몸길이에서 구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방어는 지느러미 중에서 가슴의 지느러미가 넓어보이는 편이며 부시리는 그에 비해서 배의 지느러미가 넓어보이고 위턱의 뒷가장자리가 방어에 비해서 둥글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학명 Seriola lalandi 한글명 부시 영명 Goldstriped amberjack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상목: 극기상목(미분류): 전갱이류목: 전갱이목과:..
임연수라는 이름은 조선시대 문헌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 “옛날 함경북도에 임연수林延壽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 물고기를 잘 낚았다. 이로 말미암아 본토박이가 그런 이름을 붙였다.”라고 유래가 쓰여 있습니다.학명 Pleurogrammus azonus 한글명 임연수 영명 Arabesque greenling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상목: 극기상목목: 페르카목아목: 둑중개아목하목: 쥐노래하목과: 쥐노래미과속: 임연수어속종: 임연수어 멸종위기등급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수명임연수어(Arabesque greenling)의 수명은 대략적으로 10년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는 해당 종의 생태학적인 조건과 서식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종종 작은 생물들은 짧은..
미꾸라지는 송사리와 더불어 생태계에서 모기 유충(장구벌레)을 먹음으로써 해충인 모기의 수를 줄이는 역할을 하며, 큰 물고기와 자라, 가물치, 물방개, 물자라에게는 먹이가 됩니다. 미꾸라지는 지표동물로써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미꾸라지가 살 수 있는 물은 1~4 급수 정도가 됩니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물을 흐린다"는 말은 먹이를 찾기 위해 유속이 적은 물 속의 바닥을 파헤쳐 흙탕물이 일기 때문에 생긴 말입니다. 하지만 사실 미꾸라지는 물을 맑게 하는 이로운 생물이므로, 이 속담은 어폐가 있습니다. 학명 Misgurnus mizolepis 한글명 미꾸라지 영명 Chinese weatherfish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잉어목과: 미꾸리과속: 미꾸리속종: 미꾸라지 멸종위..
붉바리는 조기류의 일종으로, 서태평 양의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해역에서 발견됩니다. 자연 서식지는 얕은 바다와 산호초입니다. 야행성이므로 바위 구멍이나 바위틈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활동하며 산란기는 6월부터 8월까지 입니다. 어류, 새우류, 게류를 먹고 삽니다. 학명 Epinephelus akaara 한글명 붉바리 영명 Hong Kong grouper/Red spotted grouper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농어목과: 바리과속: 우레기속종: 붉바리 멸종위기등급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수명 붉바리의 수명은 보통 30년 ~ 40년 정도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명은 환경 조건, 개체의 건강 상태 및 생존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개체는 더 오래 살거나 더..
도미류 중에서 가장 검은 빛을 띠고 있기 때문에, 《자산어보》에는 흑조, 일본에서는 '검은돔' 이란 뜻의 구로다이로 불립니다. 감성돔이라는 이름은 검은 돔에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감상어, 먹도미, 감성도미, 감셍이, 구릿, 맹이, 남정바리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학명 Acantopagrus scblegeli 한글명 감성돔 영명 black porgy/black sea bream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상목: 극기상목(미분류): 에우페르카리아류목: 도미목또는 농어목과: 도미과속: 감성돔속종: 감성돔 멸종위기등급정보부족(DD): 직간접적 정보 부족으로 평가 불가정보부족종(DD, Data Deficient)은 평가 자료가 부족하여 등급이 정해지지 않은 생물종입니다. 국제 자연 보전 연..
배스(Bass)라는 영단어는 고대 영어 배르스(Bærs)가 변한 것입니다. 어원을 따지면 '가시가 난 것', 동의어로 퍼치(Perch)가 있는데 라틴어 페르카(perca: 농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사전적으로는 "농어"라는 뜻이지만 낚시꾼이 "배스"라 하면 예를 들어 피콕배스처럼 대충 농어 비슷한 물고기들을 모두 "농어"라고 통칭하는 것으로 엄밀한 과학적 용어가 아닙니다. 대체로 "배스"라는 영어 낱말은 한국어로 "농어" 또는 "우럭"으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학명 Micropterus 한글명 배스 영명 bass 분류계 : 동물계(Animalia)문 : 척삭동물문(Chordata)강 : 조기강(Actinopterygii)목 : 농어목(Perciformes)과 : 검정우럭과속 : Micropterus 멸종..
도다리는 도다리라는 표준명칭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가자미를 통틀어 도다리로 잘못 부르고 있습니다. 특히 넙치와 구별하기 위해 '좌광우도'라고도 하지만 입이 크고, 이빨이 있으면 넙치, 반대로 입이 작고 이빨이 없으면 도다리로 구분됩니다. 학명 Pleuronichthys cornulus 한글명 도다리 영명 ridged-eye flounder/frog flounder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가자미목과: 가자미과속: 도다리속종: 도다리 서식지개구리 도다리라고도 알려진 도다리는 서부 대서양, 특히 멕시코만과 미국 남동부 해안을 따라 발견되는 넙치류의 일종입니다. 이 도다리는 연안 해역, 하구, 얕은 만의 모래나 진흙 바닥, 일반적으로 수심이 얕은 곳에서 서식합니다. 그들은 ..
철갑상어는 민물고기인 동시에 바닷물고기이기도 합니다. 비늘 없는 유선형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몸길이가 2~5m 정도까지 달하는 대형 어종입니다. 입에는 이가 없어 강바닥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들과 미생물들을 주식으로 합니다. 중국에서는 국보급 천연기념물로 취급되며,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야생동식물 보호어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학명 Acipenseridae 한글명 철갑상어 영명 Sturgeon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아문: 척추동물아문강: 조기어강아강: 연질어아강목: 철갑상어목과: 철갑상어과아과: 철갑상어아과속: 철갑상어속종: 철갑상어 서식지철갑상어는 주로 담수와 해수 모두에서 서식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아열대, 온대, 아북극 지역의 강, 호수, 연안 해역에서 발견됩니다.강과 호수: 철갑상어는 깊고..
빙어(氷魚)라는 이름은 조선말의 실학자인 서유구(1764~1845)가 《전어지》에 '동지가 지난 뒤 얼음에 구멍을 내어 그물이나 낚시로 잡고, 입추가 지나면 푸른색이 점점 사라지기 시작하다가 얼음이 녹으면 잘 보이지 않는다' 하여 얼음 '빙'(氷)에 물고기 '어'(魚)'어'(魚) 자를 따서 '빙어'라 불렀다는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학명 Hypomesus nipponensis 한글명 빙어 영명 pond smelt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상강: 경골어상강강: 경골어강아강: 신기아강하강: 진골어하강상목: 원극기상목목: 바다빙어목과: 바다빙어과속: 빙어속종: 빙어 수명빙어의 수명은 특정 종과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적절한 수질과 먹이자원을 갖춘 유리한 환경에서는 수명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
고등어목 갈치과의 바닷물고기. 생김새가 기다란 칼 모양을 하고 있어 예로부터 도어(刀魚) 또는 칼치라고 불렀습니다. 《자산어보》에서는 군대어(裙帶魚)라 하고, 속명을 갈치어(葛峙魚)라 하였으며, 《난호어목지》에서는 갈치(葛侈)라 하였습니다. 전라도에서는 어린 갈치 새끼를 가리켜 풀치라고도 합니다. 학명 Trichiurus haumela 한글명 갈치 영명 hairtail/cutlassfish분류역: 진핵생물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기어강목: 고등어목과: 갈치과속: 갈치속종: 갈치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LC : Least Concern, 출처 : IUCN) 외형몸길이 1m 정도로 몸은 가늘고 길며 납작합니다. 빛깔은 광택이 나는 은백색을 띠며, 등지느러미는 연한 황록색을 띱니다. 꼬리는 실 모양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