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방어와 생김새가 비슷하여서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구분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겉보기부터 방어와 매우 비슷하여서 방어와 착각하기 쉬운 데다가 방어와 외면에서는 너무도 다를 바가 없어서

     

    어류 연구가나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일반인들 시점에서는 확연히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분석으로는 지느러미와 몸길이에서 구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방어는 지느러미 중에서 가슴의 지느러미가 넓어보이는 편이며

     

    부시리는 그에 비해서 배의 지느러미가 넓어보이고 위턱의 뒷가장자리가 방어에 비해서 둥글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학명 Seriola lalandi   한글명 부시 영명 Goldstriped amberjack

    부시리(Goldstriped amberjack)의 모습(출처-네이버)
    부시리(Goldstriped amberjack)의 모습(출처-네이버)

     

    분류

    • 계: 동물계
    • 문: 척삭동물문
    • 강: 조기어강
    • 상목: 극기상목
    • (미분류): 전갱이류
    • 목: 전갱이목
    • 과: 전갱이과
    • 속: 방어속
    • 종: 부시리

     

    멸종위기등급

    • 부시리(Goldstriped amberjack)는 현재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과잉 어업과 해양 환경의 변화로 인해 그들의 서식지와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호 노력이 필요합니다. 부시리와 같은 어종은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 및 해양 보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수명

    • 부시리(Goldstriped amberjack)의 수명은 대략 15년 ~ 20년 정도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서식 환경, 사회적 요인, 그리고 개체마다의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청소년기에 성숙을 하며, 성숙 후에는 번식을 시작하고 성장이 둔화됩니다.

     

    서식지

    • 부시리(Goldstriped amberjack)는 주로 온대와 열대 지역의 열대 해양에서 발견됩니다. 서식지는 대부분 대륙 사면이나 대륙 사면 근처의 바다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들은 바닷물의 온도가 따뜻한 지역을 선호하며, 샐러티 수심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바닷속의 산호초, 바다풀, 그리고 바위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시리는 대양에서 떨어진 해양 섬이나 산호초 주변의 해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외형

    • 부시리(Goldstriped amberjack)는 긴 몸과 뾰족한 머리를 가진 대형 어류입니다. 몸은 길고 압축된 형태이며,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는 강하고 힘 있게 발달합니다. 그들의 몸은 전체적으로 황금색에서 금빛을 띄며, 금빛 줄무늬가 몸 측면을 따라 흐릅니다. 또한 뒷부분에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시리의 눈은 비교적 크고 몸에 비해 머리가 작은 편입니다. 전반적으로 부시리는 윤곽이 날렵하고 근육질한 외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징

    부시리(Goldstriped amberjack)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몸 형태: 긴 몸과 압축된 형태를 가지며,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가 힘있게 발달합니다.
    • 색상: 황금색에서 금빛을 띄는 몸 색상을 가지며, 몸 측면을 따라 금빛 줄무늬가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뒷부분에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머리: 뾰족한 머리를 가지며, 비교적 큰 눈을 가진다.
    • 서식지: 열대와 온대 지역의 열대 해양에서 발견되며, 샐러티 수심이나 산호초 주변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 성장: 청소년기에 성숙하며, 성숙 후에는 번식을 시작하고 성장이 둔화됩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