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길 잃은 새로서 1887년 암컷 1마리가 서울 부근의 논에서 채집된 기록이 있을 뿐입니다. 논이나 물가 초지, 못가·호숫가 습지에 살며 암수가 짝을 짓거나 작은 무리를 짓습니다. 날 때는 흰눈썹뜸부기처럼 다리를 밑으로 늘어뜨리고 낮게 직선으로 납니다. 일처다부제인 탓에 암컷이 구애와 과시 행동을 하는데, 지상에서 날개를 위로 뻗어 마치 나비가 날개를 퍼덕이듯 날갯짓을 하고 몸을 좌우로 움직이거나 방향을 바꾸기도 하고 때로는 뛰어오르기도 하면서 꽁지를 위아래로 움직입니다. 봄에서 가을에 걸쳐 한배에 4∼6개의 알을 낳아 수컷이 품습니다. 암컷은 이 둥지 저 둥지 옮겨다니면서 새로운 수컷과 교미하여 알을 낳습니다. 학명 Rostratula benghalensis 한글 호..
러시아 남동부, 중국 북동부, 한반도 북부(백두산)에서 번식하며, 한반도 남부와 일본에서 월동합니다. 전 세계에 2400~4500마리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 때 채집된 2마리 이후 62년 만인 1988년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남대천에서 한 쌍이 시체로 발견되었습니다. 그리고 1990년대에 한탄강에서 월동무리들이 발견되고 이후 남한강, 강촌(북한강), 대청호 등의 산악지역 맑은 하천에서 발견되면서 겨울철새로 기록되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천연기념물 제448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학명 Mergus squamatus 한글 호사비오리 영명 Chinese merganser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기러기목과..
듬복이 또는 듬북이라고도 하였으며, 한자로는 등계(imagefont鷄)·계칙(鸂鷘)이라고 합니다. 뜸부기과 조류로는 130여 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뜸부기·쇠뜸부기·물닭·쇠물닭·쇠뜸부기사촌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 가운데 뜸부기는 우리 나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름새입니다. 우리 나라의 중부지역에는 6월 초에 수컷이 먼저 도래하고, 약 15일 후에 암컷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10월 초순경이 되면 대부분 남하합니다.1980년대에 급감했고 1990년대는 거의 자취를 감췄습니다. 학명 Gallicrex cinerea 한글 뜸부기 영명 Watercock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두루미목과: 뜸부기과속: 뜸부기속종: 뜸부기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
흑비둘기는 온몸이 검은 비둘기과의 새이며 야생 비둘기 무리 중 가장 큰 종류입니다. 한정된 지역에 분포하는 희귀한 텃새이므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습니다. 울릉도에서는 검다 하여 ‘검은비둘기(흑구:黑鳩)’또는 울음소리 때문에 ‘뻐꿈새’라고도 부릅니다. 1936년 8월 26일 울릉도에서 잡힌 암컷 1마리의 표본이 학계에 소개되면서 처음 알려졌습니다. 1968년 11월 22일 울릉도 사동의 흑비둘기서식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과 더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학명 Columba janthina 한글 흑비둘기 영명 Black Wood Pigeon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
느시는 느시목 느시과의 새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너화', '들칠면조'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11월경에 남하하여 월동하고 3월경에 북상합니다. 한국에서는 넓은 평지나 평탄한 농경지, 마른논, 앞이 탁 트인 산지 밭에 내려앉는 희귀한 겨울새인데, 예전에는 떼지어 날아오던 흔한 사냥새였습니다.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학명 Otis tarda 한글 느시 영명 Great bustard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느시목과: 느시과속: 느시속종: 느시 멸종위기등급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멸종위기Ⅰ급: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CITES Ⅱ: ..
까막딱따구리는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의 한 종으로, 한국에서는 텃새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242호로 보호하고 있습니다. 크낙새와 비슷하지만, 크낙새는 배가 희며, 까막딱따구리는 까맣습니다. 까마귀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수컷은 머리 위와 목 뒤가 붉은색이며, 암컷은 목 뒤만 붉습니다. 지금은 숲이 파괴되어 감에 따라 그 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일본 등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합니다. 학명 Dryocopus martius 한글 까막딱따구리 영명 Black woodpecker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딱따구리목과: 딱따구리과속: 까막딱따구리속종: 까막딱따구리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멸종위기Ⅱ급: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 우려..
붉은박쥐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포유동물입니다. ‘황금박쥐’, ‘오렌지윗수염박쥐’, ‘조복성박쥐’로도 불립니다. 중국, 한반도, 일본의 쓰시마섬과 대만 등에 분포하여 삽니다. 동아시아 전역에 분포하지만 서식 밀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단 한국에서는 한 번에 많은 수가 발견되기도 해서 큰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한 장소에서 87마리가 동시 발견되고, 수가 증식되어 100개체까지 늘어나기도 했습니다. 다만 다른 지역엔 극소수만이 살기에 한국에 서식하는 총 개체는 약 200마리로 예상됩니다. 학명 Myotis rufoniger 한글 붉은박쥐 영명 Korean Orange Whiskered Bat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동물강목: 박쥐목과: 애기박쥐과속: ..
제주도의 조랑말은 천연기념물 제347호로 지정하였습니다. 제주도의 말을 '탐라마' · '제주마' · '조랑말' · '토마' · '국마' 등 여러 가지로 부르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조랑말'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제주도에서 말을 언제부터 사육하였으며, 말의 계통이 어떻다는데 대해서는 확실하지가 않습니다. 학명 E. caballus 한글 제주마 한자 濟州馬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강목: 말목과: 말과속: 말속종: 말 멸종위기등급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천연기념물 347호 수명제주마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20 ~ 25년 정도입니다. 이는 다른 말 품종과 유사한 수명 범위입니다.말의 수명은 관리 상태, 건강, 환경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
황새는 황새목 황새과에 속하는 종들을 한데 이르는 이름입니다. 보통 영어로는 Stork으로 불립니다. 옛날에는 '큰 새'라는 뜻의 한새로 불렸습니다. 황새는 일반적으로 두루미와 왜가리와 크게 혼동됩니다. 그러나 황새는 바깥 날개깃이 모두 검고, 두루미는 셋째날개깃만 검은색입니다. 또한 두루미는 머리에, 황새는 눈가에 붉은 피부가 드러나 있으며, 왜가리는 피부의 노출 없이 머리에 검은 깃이 있으며 황새와 두루미와는 다르게 날 때 목을 접고 납니다. 분류학상으로도 황새는 황새목, 두루미는 두루미목, 왜가리는 사다새목에 속합니다. 학명 Ciconia boyciana 한글 황새 영명 Oriental stork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황새목과: 황새과속: 황새속종: 황새 멸종위기등급..
검은머리물떼새는 도요목 검은머리물떼새과 검은머리물떼새속에 속하는 섭금류로 유라시아검은머리물떼새라고도 일컫습니다.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하는 유일한 검은머리물떼새속 섭금류이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 326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화도의 대송도에서 소수가 번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1984년 12월에 금강 하구에서 850마리의 대군이 발견되어 학계에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1992년 9월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운평리 남양만 염전에서 남하중인 133마리를 관찰한 적도 있습니다. 현재 서해의 무인도에서 강화도를 거쳐 북한의 황해도와 평안북도 등지에 150개체 내외가 번식하리라고 추측합니다. 학명 Haematopus ostralegus 한글 검..
장수하늘소는 하늘소과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2000년대 이후 발견된 것은 2002년에 수컷 한 마리, 2006년, 2014년 여름에 암컷/수컷 한 마리가 채집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 강원도 춘성군 북상면 추전리에서 4개체나 채집되어 그곳을 장수하늘소의 서식지로서 천연기념물 로 지정, 보호하여 왔으나, 전후 그곳에서는 자취를 감추어버려 1973년 천연기념물에서 해제하였습니다. 그러나 전후 경기도 광릉의 임업시험장 중부지장 시험림인 소리봉(蘇利峰)에서 적지 않은 수가 채집되었으며, 강원도 명주군 청학동 소금강에서도 한 개체가 채집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광릉 소리봉의 서나무와 신갈나무숲은 우리나라의 유일한 집단서식지가 될 것입니다. 장수하늘소와 그..
사향노루 또는 시베리아사향노루는 사향노루과의 동물입니다. 궁노루 또는 아장(牙獐)이라고도 합니다. 암수 모두 뿔이 없으며 수컷은 엄니가 특히 길고 커서 상아처럼 입 밖으로 나와 있습니다. 배꼽 안쪽에는 향낭(향주머니)이 있어 그 향낭에서 사향을 뿜어냅니다. 학명 Moschus moschiferus 한글명 사향노루 영명 Musk deer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동물강목: 우제목/경우제목과: 사향노루과속: 사향노루속종: 사향노루 멸종위기등급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멸종위기Ⅰ급: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천연기념물 제216호 수명사향노루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약 10년 ~ 20년 정도입니다. 자연 서식지에서의 수명은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보호 환경이나..
산양은 양이 아닙니다. 다만, 같은 양아과(Caprinae)에 속해 있어 친척뻘이라고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향소에 더 가깝습니다. 히말라야 지대의 아이벡스나 로키 산맥의 큰뿔양 등 뿔이 크고 멋있는 종류들과 한국의 산양은 전혀 다릅니다. 한국 종은 caudatus입니다. 아이벡스와 큰뿔양은 고트, 즉 염소 또는 면양과 근연 관계입니다. 밤에는 눈동자가 원형이지만, 낮에는 눈동자가 직사각형으로 변합니다. 학명 Naemorhedus caudatus 한글명 산양 영명 Long-Tailed Goral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동물강목: 우제목/경우제목과: 소과아과: 영양아과족: 양족속: 산양속종: 산양 멸종위기등급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멸종위기Ⅰ급: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일본에서는 준위협종(NT), 중국에서는 국가중점보호야생동물목록 2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러시아, 중국, 한반도 일대에서 번식하며, 비번식기에는 일본, 홍콩, 타이완,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부르나이, 인도네시아로 이동합니다. 대부분의 집단이 한반도에서 번식하고 지구상의 생존집단은 2,600-3,400마리 내외로 추산됩니다. 대표적인 번식지는 인천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의 옹진 신도 노랑부리백로와 괭이갈매기 번식지(천연기념물), 북한 평안북도 선천군 운종리의 묵이도 노랑부리백로 서식지(북한 천연기념물 제72호) 그리고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송이리의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번식지 등이 있습니다. 학명 Egretta eulophotes 한글명 노랑..
원앙(鴛鴦)은 기러기목 오리과 원앙속에 속하는 조류로, 천연기념물 제327호입니다. 천연기념물이지만 환경 적응력은 준수한 편이라 개체수가 상당히 많아 호수나 하천에서 흔히 보입니다. 흔한 종인데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유는 예로부터 백년해로를 상징하는 문화적 가치가 있는 동물이라서입니다. 이 속에 속하는 종으로 원앙과 아메리카원앙이 있습니다. 학명 Aix galericulata 한글명 원앙 영명 Mandarin Duck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기러기목과: 오리과속: 원앙속종: 원앙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천연기념물 : 제327호 수명원앙의 평균 수명은 자연 상태에서 약 6-7년 정도입니다. 하지만 적절한 보호와 관리가 이루어지는 환경에서는 10년 ..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에 널리 분포합니다. 한국의 경우 과거에는 전국적으로 볼 수 있었으나 모피수(毛皮獸)로 남획되고 하천의 황폐화하면서 그 수가 줄었습니다. 1982년 11월 16일 전국 일원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12년 7월 27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수달(水獺)은 물에서 헤엄치면서 물고기를 주로 잡아먹는 족제비과 수달아과로 분류되는 포유류의 총칭으로 좁게는 수달류의 모식종이자 한국에 서식하는 종인 유라시아수달(Eurasian otter, Lutra lutra)만 뜻합니다. 유럽 여러 지역에선 개체수가 회복되었으나 대한민국,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 태국에선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학명 Lutra lutra 한글명 ..
2015년 3월 17일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55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일명 '똥돼지'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화장실에서 키우는 돼지라는 뜻에서 '돗통시'라고도 불리었습니다. 2세기 ~ 5세기 경 한라산과 들판에 서식하던 야생 멧돼지를 잡아다 길들여 키운 것이 제주흑돼지의 기원이라고 합니다. 제주흑돼지는 제주도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문화적․향토적 가치가 뛰어납니다. 제주흑돼지는 제주도 특유의 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여 체질이 강건하고 질병저항성이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육지와는 다른 형질을 가지고 있어 차별성이 있습니다. 학명 Sus scrofa 한글명 제주 흑돼지 영명 Jeju Black Pig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강목: 소목..
팔색조는 세계적으로 1,600~6,600여 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의 개체군은 50마리에서 1,000마리 사이로 추정되어 됩니다. 예상되는 잔존 개체 수의 최소와 최대치의 차이가 큰 이유는 팔색조가 조심성이 많고 울창한 숲 속에서 살다 보니 관찰하기 쉽지 않아서입니다. 그래서 국내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도 생태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팔색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우선 생태 연구가 시급하며, 그에 따라 적절한 보전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학명 Pitta nympha 한글명 팔색조 영명 Fairy pitta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참새목과: 팔색조과속: 팔색조속종: 팔색조 멸종위기등급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멸종위기Ⅱ급:..
황새의 '황'자 자체가 한자라고 착각하기 쉬운데, 사실 '한'(크다)에서 유래된 말로 중세국어 시기까지만 해도 '한새'로 쓰이던 순우리말입니다. 음운적으로는 부자연스러운 변화인데 고유어 지명 같은 데서도 꽤 흔하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황새는 일반적으로 두루미와 왜가리와 크게 혼동됩니다. 그러나 황새는 바깥 날개깃이 모두 검고, 두루미는 셋째날개깃만 검은색입니다. 또한 두루미는 머리에, 황새는 눈가에 붉은 피부가 드러나 있으며, 왜가리는 피부의 노출 없이 머리에 검은 깃이 있으며 황새와 두루미와는 다르게 날 때 목을 접고 납니다. 분류학상으로도 황새는 황새목, 두루미는 두루미목, 왜가리는 사다새목에 속한답니다. 학명 Ciconia boyciana 한글명 황새 영명 Oriental stork..
삽사리, 삽살이라고도 불립니다. 털이 긴 개라는 의미로 낙사구(絡絲狗), 방구(尨狗), 더풀개, 더펄개라고도 합니다. 잡귀를 쫓는 퇴마견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삽살개의 이름을 풀어 쓰면 '액운(煞·살)을 쫓는(揷·삽) 개'가 됩니다. 보통 삽살개라는 이름으로 팔리는 소형견은 장모종의 외국견 잡종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학명 Canis familiaris 한글명 삽살개 영명 Sapsari 분류삽살개(Sapsari)는 개의 계, 문강, 목, 과, 속의 분류에서 어디에 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공식적인 분류는 없습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개 품종 중 하나인 삽살개는 주로 한국의 문화적인 유산으로 취급되며, 공식적인 동물학적 분류에 대해서는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그러나 일부 동물학자..
재두루미(white-naped crane)라는 이름은 이 새의 외모 특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재"는 '흰색'을 의미하고, "두루미"는 두루미과에 속하는 새들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이 새는 목 부분에 흰색 줄무늬가 있어서 '흰색 줄무늬가 있는 두루미'라는 의미로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일반적으로 중국,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주로 발견되며, 우아한 모습으로 유명합니다. 학명 Grus vipio 한글명 재두루미 영명 White-naped crane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두루미목과: 두루미과속: 두루미속종: 재두루미 멸종위기등급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멸종위기Ⅱ급: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 우려됨천연기념물 제203호 외형재두루미는 아름다운 외모와 우아한 자세로 ..
유럽에서는 유일하게 날다람쥐 종이며, 라트비아에서는 2001년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으며 2013년부터 현지에서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한국 애니메이션 스피어즈와 뚜루뚜루뚜 나롱이의 등장 캐릭터 '나롱이'의 모티브 동물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328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학명 Pteromys volans 한글명 하늘다람쥐 영명 Russian flying squirrel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동물강목: 설치목과: 청설모과속: 하늘다람쥐속종: 하늘다람쥐 멸종위기등급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멸종위기Ⅱ급: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 우려됨천연기념물 제328호 외형하늘다람쥐는 비행을 할 수 있는 다람쥐로, 외모적..
대한민국에는 8종의 매가 살고 있으며, 모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1. 보라매류(호크; 수리목 수리과) 참매(Accipiter gentilis), 붉은배새매(Accipiter soloensis), 새매(Accipiter nisus) 2. 개구리매류(해리어; 수리목 수리과) 개구리매(Circus aeruginosus), 알락개구리매(Circus melanoleucos),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3. 송골매류(팔콘; 매목 매과) 매(Falco peregrinus),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학명 Falco peregrinus japonensis 한글명 매류 영명 Peregrine falcon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매목과: 매과속:..
고니는 1830년 윌리엄 야렐(William Yarrell)이 새와 동물의 삽화를 전문으로 하는 조각가 토마스 베윅(Thomas Bewick)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201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한반도에서는 같은 속에 속한 혹고니·큰고니와 함께 월동하는 겨울철새입니다. 흰 깃을 가지고 있어 한자어로는 백조(白鳥)라고 합니다. 학명 Cygnus columbianus 한글명 고니 영명 Bewick's swan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조강목: 기러기목과: 오리과속: 고니속종: 고니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LC : Least Concern,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출처 : IUCN)멸종위기Ⅱ급: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남생이는 영국의 동물학자 존 에드워드 그레이(John Edward Gray, 1800~1875)가 1831년에 에미스 레베시(Emys reevesii)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록했습니다. 자연학자 존 러셀 리브스(John Russell Reeves, 1804~1877)가 중국에서 채집하여 영국으로 보낸 표본을 근거로 발표했기에 이를 기념하여 학명과 영명(Reeves' turtle)에 그의 이름이 붙였습니다. 학명 Mauremys reevesii 한글명 남생이 영명 Reeves' turtle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파충강목: 거북목아목: 잠경아목과: 돌거북과속: 남생이속종: 남생이 멸종위기등급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 우려됨천연기념물 453호한국 적색목록 ..
국내에서 아시아흑곰은 대한민국, 중국 북동부 지역, 일본의 혼슈와 시코쿠 지역, 러시아 연해주 지역 등에 서식하는 아종으로 이 아종은 다른 아종들 중에서 제일 크며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우수리불곰과 함께 한반도에 자생하는 곰입니다. 일명 반달가슴곰으로 불립니다. 학명 Ursus arctos lasiotus 한글명 반달가슴곰 영명 Asian black bear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동물강목: 식육목과: 곰과속: 곰속종: 아시아흑곰 멸종위기등급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멸종위기Ⅰ급: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천연기념물 329호IUCN 적색목록 취약(VU) 반달가슴곰은 한반도 전역에 서식할 정도로 흔한 곰이었으나 일제강점기 시절에 일제의 해수구제(害獸驅除) 사업..
머리 정수리 부분이 붉은색이며, 이 때문에 붉은 정수리의 학이라는 뜻의 '단정학(丹頂鶴)'이라는 이명(異名)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붉은 털로 덮여있는 것이 아니라 피부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것입니다. 피부 자체도 일반적인 매끈한 피부가 아니라 꼭 길쭉한 형태의 알이 다닥다닥 박힌 듯한, 새빨갛고 꽤나 긴 돌기가 빼곡하게 박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피부가 붉은 것은 색소가 아니라 피의 색이 그대로 비치는 것으로, 화나면 정수리가 더 붉어집니다. 두루미가 하얀 깃털을 지닌 까닭은 이성의 눈에 잘 띄어서 번식을 잘하기 위해서입니다. 아주 먼 거리를 날아다니면서 에너지를 소모하는 두루미에게 있어서 상대방을 만나서 번식을 하는 일은 굉장히 크고 중요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학명 Grus japonensis ..
학명은 그리스어로 물범, 포체(phoce), 라르가(larga)에서 유래했으며, 시베리아 퉁구스족의 물범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일반 이름은 물범의 특징인 어둡고 불규칙한 모양의 반점에서 유래했습니다. 점박이물범은 특유의 V자 또는 하트♡ 모양의 콧구멍을 갖고 있으며 몸 색깔은 갈색, 황갈색 또는 회색입니다. 학명 Phoca largha 한글명 점박이물범 영명 Spotted seal 분류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강목: 식육목아목: 개아목상과: 기각상과과: 물범과아과: 북방물범아과족: 물범족속: 물범속종: 물범 멸종위기등급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1982년 천연기념물 331호로 지정관심대상(LC : Least Concern, 출처 : IUCN)점박이물범은 개체수 급감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
전라남도 진도군 일대에서 기르는 우리나라 특산의 개 품종으로 천연기념물 제53호(천연기념물로는 '진도개') 입니다. 동남아시아계의 중형종에 속하는 품종의 하나로 신견이라고도 합니다. 성격이 대담하고 후각과 청각이 예민하여 사냥에 적합하며, 충직하고 영리합니다. 충성심이 강해 주인을 잘 따릅니다. 그러나 한 주인에게 매이는 성격이 너무 강한지라 사역견으로는 쓸 수 없습니다. 어미에 대한 모성애가 매우 강하고, 털은 주로 노란 것(황구)과 흰 것(백구)이 있으며, 그 외 재구, 네눈박이, 호구, 흑구 등 10여 종류의 다양한 것이 있습니다. 학명 Canis familiaris 한글명 진돗개 영명 Jindogae 역사진돗개는 1937년 2월 게이조 제국대학 교수 모리 다메조(森大縣三)에 의해 연구되어 193..
정식명칭은 '흰배딱따구리'로 국내 아종은 크낙새라고 부릅니다. 크낙새는 천연기념물 제197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또한 1962년에는 광릉 크낙새 서식지가 천연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는 크낙새를 멸종위기종이 아닌 관심대상(LC) 등급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크낙새를 아종이 아닌 종(D. javensis) 단위로 평가하고 있어서입니다. 크낙새의 한반도 아종(D. j. richardsi)은 심각한 멸종위기지만, 종 단위로 보면 세계적으로 흔합니다. 학명 Dryocopus javensis 또는 Dryocopus javensis richardsi 한글명 크낙새 영명 White-bellied Black Woodpecker 분류계 : 동물계문..